아이리쉬 휘슬 연주 기법

이미지
부는 방법 "퉅", 혀를 앞니 뒷쪽 입 천장 부근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휘슬을 부는 동시에 재빨리 혀를 내린다. 음을 마칠 때는 다시 혀를 위로 올려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면 깔끔한 연주 소리를 낼 수 있다. 이를 tonguing이라고 한다. 16분음표가 연속으로 연주되는 등의 짧고 빠르게 반복되는 음들의 경우에는 "퉅퉅" 대신 "투쿹"이라고 부는 것이 좋으며, 이를 double tonguing이러고 한다. 이음줄이나 붙임줄로 연결된 음표들은 한 호흡에 이어서 연주해야 한다. 장식 기법 Tip 또는  Tap 또는 Strike 연주되는 음의 바로 아래 구멍을 순간적으로 막았다 때면 해당 음이 2번 연주되는 듯 들릴 것이다. 해당음의 바로 아래 음을 꾸밈음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D음에는 사용할 수 없다. Cut 마찬가지로 꾸밈음을 연주할 때 사용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D를 연주하는 도중 왼손 3번 손가락을 순각적으로 땠다 붙인다면, A음이 꾸밈음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C음과 C#음에는 사용할 수 없다. Roll Cut과 Tip이 연속으로 합쳐져서 해당 음이 3번 연주되는 효과를 주는 기법이다. 악보에서는 음표 아래 반달 모양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Slide 두 음 사이를 옮겨갈 때 사용된다. 입으로 불고 난 후에 손가락을 움직인다고 보면 된다.

음정

이미지
음정(interval)은 음과 음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위라고 이해하면 된다네. 우선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C 메이저 스케일에서 시작하는 게 좋겠군. 참고로, C 메이저 스케일이란 C음부터 시작해서 흰 건반만으로 이루어진 음계를 말한다는 것쯤은 이미 알고 있으리라 믿네. 같은 음인 경우, 예를 들어 C-C의 거리는 1이라고 하네. 그리고 C-D의 거리는 2라고 하고, C-E의 거리는 3, C-F의 거리는 4, C-G의 거리는 5, C-A의 거리는 6, C-B의 거리는 7, C-C(한 옥타브 높은)의 거리는 8이라네. 여기서, 1, 4, 5, 8의 앞에는 완전(perfect)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2, 3, 6, 7의 앞에는 장(major)이라는 이름을 붙인다고 알아두게. 완전(perfect)이란 이름이 붙은 음정에서 반음이 멀어지면 증(augmented)라는 이름으로 바뀐다네. 또 한 번 더 멀어지면 겹증(double augmented)라는 이름을 사용하네. 반대로 완전의 음정에서 반음만큼 가까워지면 감(diminished)란 이름을 사용하고, 또 한 번 가까워지면 겹감(double diminished)란 이름을 사용한다네. 장(major)이란 이름이 붙은 음정에서 반음씩 멀어지는 때에는 augmented, double augmented란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위와 동일하다네. 하지만, 장으로부터 반음 가까워진 때에는 단(minor)란 이름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아두게. 다시 단으로부터 반음씩 가까워질 때마다 diminished, double diminished란 이름을 사용한다네. 겹감 ← 감  ← 완전 → 증  → 겹증 겹감 ← 감  ← 단  → 장 → 증  → 겹증 그러면, 이쯤에서 음정과 반음 갯수를 정리해 보고자 하네. 완전 1도 : 0 장 2도 : 2 장 3도 : 4 완전 4도 : 5 완전 5도 : 7 장 6도 : 9 장 7도 : 11 완전 8도 : 12...

멜로디

음악을 듣는 이에게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멜로디(melody)라는 것은 피치(pitch)와 리듬(rhythm)이 혼합된 음의 연속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네. 이 멜로디의 움직임을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순차진행(conjunct motion)과 도약진행(disjunct motion)이네. 순차진행이란 한 음에서 다른 음으로 움직일 때 2도 음정 이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말하고, 도약진행이란 3도 이상으로 진행하는 것을 말하네. 멜로디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해 몇가지를 일러두자면 다음과 같네. 3도 음정의 도약진행은 간은 방향으로 연속 3번까지만 허용된다. 하지만, 2번 정도가 안정적이며 다음에 놓이는 음은 2도 음정으로 상행 또는 하행시킬 수 있지만 기존의 진행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좋다. 4도 음정의 도약진행은 같은 방향으로 2번까지만 허용되며 다음에 오는 음은 반대 방향으로 꺽어 2도음정으로 진행시키도록 한다. 5도 음정의 도약진행은 1번만 허용되며 다음에 오는 음은 반대방향으로 꺽어 2도 음정으로 진행시킨다. 단, 특별한 경우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진핼시킬 수 있다. 옥타브 이상의 음정으로 도약시키는 때에 다음에 오는 음은 반드시 반대방향으로 꺽거나 순차진행시켜야 한다. 멜로디의 진행에서 2번 이상 도약진행시킨 때에는 다음 음은 배당된 화음의 화성음으로 나타나게 하는 것이 좋다. 증음정과 감음정의 순차진행 또는 도약진행은 피하는 것이 좋다. 긴 음은 강박에 놓이고 짧은 음은 약박에 놓이는 것이 안정감이 있어 좋다. 동일하거나 비슷한 음형으로 진행하는 음정은 친근감과 안정감을 준다. 반음계적 진행과 2도음정의 온음계적 진행은 부드럽고 잔잔한 느낌을 준다. 화성음정으로 구성된 도약형의 음정은 밝고 율동적인 느낌을 준다. 멜로디의 도약진행이 많으면 노래를 부르기 어려우므로 주의해야 한다네. 또한, 보컬이 숨을 쉴 수 있는 틈을 주어야 한다는 것과 보컬의 음역대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것도 주의해야 하네.

Moon River

이미지
문 리버 (Moon River) 오드리 헵번 주연의 '티파니에서 아침을'의 OST로 사용된 곡이다.

섬집 아기

이미지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라 가면 아기가 혼자 남아 집을 보다가 ... 야동을 봤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곡이다.

Mozart Lullaby

이미지
모차르트의 자장가

Schubert Lullaby

이미지
슈베르트의 자장가